예술은 인간의 신경, 심장, 두뇌, 눈을 통해서 창조된 인간 내면의 영상이며 자연은 예술가의 영혼에 양분을 주는 외적인 영상이다. - Edvard Munch -STARRY NIGHT
TRAIN SMOKE
FOUR GIRLS IN ASGARDSTRAND, 1903
THE YELLOW LOG, 1911-12
GALLOPING HORSE, 1910-12
우울
근심
YOUNG WOMAN on THE SHORE
목소리/ 여름밤
꿈
빨강과 하양
절규
Separation (1900) Oil on Canvas, by Edvard Munch
![]()
Separation II (1896) Lithography, by Edvard Munch
Sister Inger, 1884, oil on canvas, National Gallery, Oslo. 52KB
Spring, 1889, oil on canvas, National Gallery, Oslo. 102KB
Spring Day on Karl Johann, 1890, oil on canvas, Billedgalleri, Bergen. 153KB
Sister Inger, 1892, oil on canvas, National Gallery, Oslo. 99KB
The Vampire, National Gallery, Oslo. 114KB
The Scream, 1893, oil, tempera and pastel on cardboard, National Gallery, Oslo. 124KB
Study for Madonna, 1893-94, charcoal on paper, Munch Museum, Oslo. 39KB
Madonna, 1894-95, oil on canvas, National Gallery, Oslo. 104KB
Self-Portrait with a Burning Cigarette, 1895, oil on canvas, National Gallery, Oslo. 87KB
The Kiss, 1897, oil on canvas, Munch Museum, Oslo. 56KB
Girls on a Bridge, 1899-1900. 155KB
The Dance of Life, 1899-1900, oil on canvas, Nasjonalgalleriet at Oslo. 107KB
Street in Asgardstrand, 1902, oil on canvas, Rasmus Meyer Collection, Bergen. 130KB
Self-Portrait with a Wine Bottle, 1906, oil on canvas, Munch Museum, Oslo. 120KB
Couple on the Shore 1906-07. tempera on unprimed canvas, National Gallery SMPK, Berlin. 95KB
The Murderer on the Lane, 1919, oil on canvas, Munch Museum, Oslo. 126KB
Woman in Blue (Frau Barth), 1921, oil on canvas, private collection. 132KB
The Wave, 1921, oil on canvas, Munch Museum, Oslo. 129KB
The Dance of Life, 1899-1900, oil on canvas, Nasjonalgalleriet at Oslo.
뭉크의 생애와 작품 세계
뢰텐 출생. 아버지는 의사였으나 심한 이상성격자였으며,
일찍이 어머니와 누이를 결핵으로 여의고, 그 자신도 병약하였다.
그와 같은 환경과 육체가 그의 정신과 작풍에 영향을 끼쳤다.
오슬로의 미술학교에서 수학하고(1881∼1884), 급진적인 그룹의 영향을 받았는데,
초기작품 《병든 아이》에서 볼 수 있는 삶과 죽음의 응시는,
그 후의 작품에서 일관하고 있다.
1889년 한여름을 바닷가의 마을에서 보내고,
신비스러운 밤의 불안을 잡아 《별이 있는 밤》 《백야(白夜)》 등을 그렸다.
1890년 파리로 가서 레옹 보나의 아틀리에에 들어갔으나 파리에서
그를 사로잡은 것은 일본의 목판화(木版畵)와 피사로와 로트레크의 작품이었으며,
고갱과 고흐의 매력이었다.
1892년 가을, 베를린미술협회전에 출품하였는데,
그것들은 초기의 애수 어린 서정적 성격을 더욱 내면화하고,
생(生)과 사(死), 사랑과 관능, 공포와 우수를 강렬한 색채로 표현하고 있어
많은 물의를 일으켰다.
그러나 여기서 뭉크의 독자적인 세계가 확립된 것이다.
게다가 베를린에서의 스트린드베리와의 만남은 그 깊이를 더하게 하였다.
그 후 파리에서는 말라르메 등과 사귀고 입센을 알게 되었으며,
명작 《생명의 프리즈》 연작(聯作)을 완성하고, 1894년부터 판화를 시작하였다.
1908∼1909년에는 신경병으로 코펜하겐에서 요양하였으며,
그 후부터 색채가 밝아지고, 문학적 ·심리적인 정감이 두드러졌다.
1937년 나치스는 독일에 있는 그의 모든 작품을 퇴폐예술이라 하여 몰수해버렸다.
만년에는 은둔생활을 하였다.
한편 판화가로서도 근대의 대작가이며 표현파의 선구자이자,
노르웨이 근대회화의 이재(異才)로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 밖의 《봄》 《질투》 《절규》 《다리 위》 《저녁시간》 《죽음의 방 The Death
Chamber》 등의 작품이 있다.
자료제공: 사람과책 홈페이지
그의 작품세계는 19세기 말 대두된 자연주의 인상주의에 대한 역작용으로 상징주의나 아트 누보Art-Nouveau와 일련의 관계를 가지면서 발생되어진 주관주의의 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는 고갱 앵소르 고흐 호들러 등과 함께 표현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되어지고 있다
. 회화에 있어 극적 테마 요약된 강한 형태 강렬한 색채 등을 통하여 이탈된 회화는 평범한 대상 묘사가 아닌 자유 분망한 자기 표현을 나타낸 점이 주관주의 회화와 공통된다.
뭉크의 작품은 사랑 고통 죽음 불안 등을 테마로 내면의 자기 표현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의 가정은 병과 죽음의 가정으로서 예고없이 찾아오는
죽음과 인간 생명의 불가사의함에 대한 상념에 늘 싸여 있었다
. 뭉크는 죽음을 응시하는 자세는 내향적이었으며 절규를 비롯하여
자화상 입맞춤 마돈나 인간들 초상화 등의 유화 판화 작품들을 남겼다.
근년에 이르러 뭉크에 대한 예술적 평가는 다시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층으로부터 많은 공감을 강하게 갖게 되는데 이는 생명과 죽음 사랑에 대한
깊은 감동과 불안 등이 뭉크의 예술과 공통되는 청년기 특유의 감수성 때문일 것이다.
뭉크 예술의 특징적인 것은 모티브의 변화는 약간 있기는 하나 양식의 변천은 뚜렷한 한계를 지니고 있지 않다
. 뭉크의 작품에서는 사랑 죽음 불안 등과 언제나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은 정신 분열에 의한 두려움의 개인적인 고백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생활 자체를 존재의 사실성으로 복귀시키려는 자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뭉크의 자화상 시리즈는 삶과 죽음과 싸우는 속에 죽음을 관념으로 확대하여 받아들이려는 자세로서
생을 향한 불안의 극복은 전생애를 통한 자기 완성에의 도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 뭉크는 생애를 통해 가장 위대한 초상 화가였으며
항시 그리는 대상은 그 자신이었고 전 인생을 통해 변천되어진 자아의 모습을 화폭에 담았다
. 한 마디로 객관적인 사실성을 초월하여
자신의 내적 혼과 정신 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연계적인 그의 자화상은 뭉크 자신의 내면성의 고백 죽음에 대한
갈등 대결 불안 등에 대한 상징으로서 죽음을 수용하려는 모습이 기조가 되고 있다.
'미술감상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Son of Man Oil on Canvas by Rene Magritte (1964) (0) | 2007.10.10 |
---|---|
(Ecclesia's Paradise-쾌락의 정원) (0) | 2007.10.05 |
초현실주의 그림 (0) | 2007.10.01 |
모리조 (0) | 2007.09.23 |
줄리앙 뒤프레 (0) | 2007.09.23 |